본문 바로가기
시험에잘나오는한국사

기출문제로 재구성한 한국사(조선 전기 붕당 정치)(수능 한능검 공무원 등)

by 예쁜다인 2021. 6. 24.

https://owvkgutrnnvj.tistory.com/42

 

(프롤로그) 시험에 잘 나오는 한국사

요즘 유튜브나 합격후기 등에서 공무원이나 기타 자격증 시험 등 거의 대부분의 시험을 공부할 때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하라는 내용의 영상이나 글을 많이 보셨을 겁니다. 그 공부법에 전적으

owvkgutrnnvj.tistory.com

 

 

 

 

 

 

훈구와 사림

훈구는 세조가 일으킨 계유정난 때 공을 세우며 세력을 확장하였고, 타 사상에 대해 개방적이고 집현전이나 성균관 출신의 관학파들이다. 이들은 조선 초기 문물제도 정비에 크게 기여하였다. 반면 사림길재, 이색 등 고려 말 온건파 사대부(혁명파 사대부는 정도전, 조준 등 개국 공신들)를 계승한 영남(경상남도+경상북도), 기호 지방(경기도 + 황해, 충청의 일부 지방)의 중소 지주들이며 이들은 서원 출신의 사학파이다. 도덕과 의리를 바탕으로 하는 왕도 정치(덕망 있는 사람이 정치를 해야)를 강조하였다. 

 

 

 

사림의 성장

성종은 훈구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사림을 적극 등용하였다. 사림들은 전랑과 3사의 언관직에 진출하여 훈구 세력을 비판하였다.

 

사화

사림파 김종직의 조의제문삼촌에게 왕위를 빼앗긴 중국의 의제를 조문한다는 형식의 글이지만 본뜻은 계유정난을 일으켜 단종의 왕위를 빼앗은 세조를 비난한 글이다. 이 일로 무오사화가 일어나 연산군은 수많은 사림들을 처형하였다. 또한 연산군의 생모가 사약을 받았던 사건인 폐비 윤 씨 사건에 가담했던 훈구 세력 뿐 아니라 사림들이 처형당한 갑자사화도 일어났다.

중종 때는 조광조현량과(중앙과 지방 관리들이 후보자를 추천)를 실시하여 신진 사림을 등용하고 도교적 제사를 지내던 소격서를 폐지하는 등 많은 성리학적 개혁을 단행하였으나 훈구들의 반발로 기묘사화가 발생하여 조광조를 포함한 많은 사림들이 제거되었다.

명종 때는 명종의 외삼촌 윤원형이 직전 왕인 인종의 외삼촌인 윤임 일파를 역적으로 몰아 대거 숙청하는 을사사화가 일어났다.

 

 

 

붕당의 출현

선조는 사림 세력을 대거 중앙 정계에 진출시켰고, 중앙에 진출한 사림들은 척신 정치 잔재 청산 문제로 신진 사림과 기성 사림으로 나뉘어 갈등이 심화되었다. 신진 사림은 김효원 중심이고 동인이, 기성 사림은 심의겸 중심이고 서인이 형성되었다. 동인은 이황 등의 학문을 계승하였고 서인은 이이 등의 학문을 계승하였다. 붕당은 학문적 경향과 정치적 이념의 성격 동시에 존재하였다.

 

 

 

퀴즈!

1. 훈구는 (  )에서 공을 세우며 세력을 확장

2. 훈구는 타사상에 대해 (개방 or 폐쇄)적?

3. 사림은 이색, 길재 등 ( )파 사대부를 계승

4. 사림은 의리와 도덕을 바탕으로 하는 ( ) 정치를 강조

5. 훈구는 집현전, 성균관 출신의 ( )파

6. 사림은 서원 출신의 ( )파

7. 훈구는 15세기 문물제도 정비에 기여?(O X)

8. (어떤 왕)는/은 훈구 세력 견제 위해 사림 적극 등용?

9. 사림은 김종직과 그의 문인들이 ( )에 진출하여 훈구 비판?

10. 중국 의제 조문하는 글이지만 본 뜻은 세조를 비난한 글?

11. 폐비 윤 씨 사건 가담했던 훈구 + 사림 패해는 ( )사화

12. 현량과 실시, 소격서 폐지 주장 인물?

13. 명종 외삼촌이 인종 외삼촌 일파 대거 숙청?( )사화

14. (어떤 왕) 때 붕당이 출현?

15. 김효원 중심은 ( )사림

16. 심의겸 중심은 ( )사림

17. 서인은 ( ) 사림 중심으로 형성

18. 동인은 ( ) 사림 중심으로 형성 

19. 이황 등의 학문을 계승?(동 or 서)인?

20. 이이 등의 학문을 계승?(동 or 서)인?

21. 조광조는 도교적 제사를 지내는 ( )를 혁파

22. 조광조가 주장하여 설치. 관리들이 후보자를 추천. ( )과

23. 선조 때 붕당은 ( )문제를 둘러싸고 갈등이 심화되어 출현

 

 

정답

1. 계유정난

2. 개방

3. 온건

4. 왕도

5. 관학

6. 사학

7. O

8. 성종

9. 전랑과 3사 언관직

10. 조의제문

11. 갑자

12. 조광조

13. 을사

14. 선조

15. 신진

16. 기성

17. 기성

18. 신진

19. 동

20. 서

21. 소격서

22. 현량

23. 척신 정치 잔재 청산